📊 구글 애널리틱스, 정확도 높인다! 퍼센트 표기와 알림 기능 추가로 데이터 투명성 강화
Google Analytics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평소에 데이터 리포트를 보며 “어디가 잘 되고 있지?”라며 고민해 본 적 있으시죠? 그런 분들을 위해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최근 구글이 GA4에 세 가지 유용한 기능을 추가해 데이터 활용성과 신뢰도를 한층 끌어올렸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 변화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 모든 리포트에 퍼센트(%) 표기 추가
- 세션 시작 이벤트 누락 시 알림 제공
- “(not set)” 값 비율이 높을 경우 알림 표시
이 중 어떤 기능이 가장 반가운가요? 저는 첫 번째 ‘퍼센트 표기’ 기능이 특히 마음에 들었는데요, 이유를 아래에서 설명해드릴게요.
—
📈 변화 1. 리포트에 ‘퍼센트(%)’가 자동으로!
기존에는 Google Analytics 리포트를 보면 숫자만 덩그러니 나와 있어서, 어떤 페이지가 전체 트래픽 중 얼마나 의미 있는지는 일일이 계산해야 했는데요. 이제는 모든 상세 리포트(Reports & Ads Module)에 각 행(row)마다 퍼센트 값이 함께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리포트가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방문 페이지 | 방문 수 | 방문 점유율 |
---|---|---|
/home | 12,000 | 30% |
/product/123 | 8,000 | 20% |
/blog/seo | 6,000 | 15% |
이처럼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니, 마케팅 보고서나 내부 발표 준비할 때 훨씬 효율적이겠죠?
📍 실전 활용 팁:
만약 쇼핑몰 페이지 중 ‘장바구니 누락률’이 높은 /product/123 페이지가 전체 방문의 20%를 차지한다면, 우선적으로 UX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셈이죠. 데이터를 통해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
🚨 변화 2. 세션 시작(session_start) 이벤트 누락 알림
GA4에서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가 바로 session_start 입니다. 이 이벤트가 누락되면 방문자가 누군지, 언제 방문했는지 모호해지면서 전체 분석이 왜곡될 수 있죠.
이제 GA4는 이런 누락이 반복되면 작은 (!) 아이콘과 함께 경고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죠:
- 어떤 이벤트가 누락되었는지
-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지
- 해결 방법과 도움말 문서
- 향후 방지를 위한 설정 가이드
🧩 실제 상황 예시:
한 스타트업 B사는 GA4 도입 이후 신규 캠페인 데이터를 아무리 봐도 방문자가 나오지 않아 의아해했습니다. 알고 보니 세션 시작 이벤트가 태그 설정 문제로 누락되고 있었던 것! 새 알림 시스템 덕분에 이슈를 조기에 발견하고 빠르게 복구할 수 있었죠.
—
⚠️ 변화 3. “(not set)” 비율 알림 기능 추가
“(not set)”이라는 값, GA 리포트를 보다 보면 자주 보이죠. 이 값은 말 그대로 ‘설정되지 않음’ 상태인데요. 보통 캠페인 태그가 잘못되었거나 URL 파라미터가 누락된 경우입니다.
이제는 특정 리포트 상에서 “(not set)” 값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시스템이 자동으로 알려줍니다.
🛠️ 알림 클릭 시 확인할 수 있는 정보:
- “(not set)”의 의미와 원리
- 어떤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는지
- 해결 방법 안내 (예: UTM 태그 누락, 타 플랫폼 API 연동 실패 등)
—
💡 왜 이게 중요할까요?
A. 분석 정확도 향상
퍼센트 표기 덕분에 데이터를 보다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되었고, 누락 이벤트나 “(not set)” 값이 자동 알림으로 관리되니 데이터 품질 관리가 수월해집니다.
B. 마케팅 예산 집행 최적화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캠페인이 실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C. 누구나 쓰기 좋은 UX
GA4를 처음 쓰는 마케터에게도 친절한 시스템이라는 인상을 주며, 팀 전체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
🧪 한 걸음 더, 실무적 활용법
- 📌 퍼센트만으로 ‘잠재 성장 포인트’ 발굴: 방문 수는 적지만 평균 체류 시간이 길거나 전환율이 높은 페이지에 주목해 보세요. 구석진 히어로 콘텐츠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알림을 활용한 QA 자동화: 새로운 캠페인을 런칭할 때 테스트 겸 로그 알림을 켜두면 세션 누락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습니다.
- 🚀 리마케팅 전략에도 다양하게 활용 가능: (not set) 비율이 높은 트래픽은 필터링하거나 별도로 캠페인 라벨링해서 리타게팅 전략에 적용할 수 있죠.
—
📝 마무리하며…
과거의 Google Analytics는 자칫 분석가의 몫이었지만, 이제는 누구나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기능 강화는 단순히 보기 좋게 만드는 수준이 아니라, 마케팅 ROI 개선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정확성’을 다지는 중요한 변화예요.
GA4를 아직 100% 익숙하지 않게 느끼셨던 분들, 이번 기회를 통해 한 단계 더 나아가 보시는 건 어떨까요? 😊
📎 참고 자료:
➡️ GA 공식 배포 문서 보기: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9164320?hl=ko
💬 “당신의 GA 설정은 안녕하신가요?”
혹시 알림이 안 뜬다면, 지금도 문제가 잠재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본 김에 GA 설정 한 번 점검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
글쓴이 | 대한민국 블로그 마케팅 전문가
10년 이상 누적 조회수 1,000만 회 달성 블로그 운영
📨 브랜딩·콘텐츠·검색최적화 관련 문의는 언제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