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핑몰 운영자라면 꼭 알아야 할 검색엔진 변경 사항: 구글의 반품 정책 구조화 데이터 요구 업데이트
여러분, 혹시 여러분의 쇼핑몰 제품 페이지에 구조화 데이터를 적용하고 계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이번에 구글이 발표한 새로운 구조화 데이터 기준을 반드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최근 구글은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대상으로 한 ‘반품 정책(MerchantReturnPolicy)’ 구조화 데이터에서 ‘국가 정보(returnPolicyCountry)’를 필수 항목으로 지정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변화가 쇼핑몰 마케팅과 SEO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
🧾 구조화 데이터란?
간단히 말해, 구조화 데이터는 검색엔진이 웹페이지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코드 조각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 이름, 가격, 후기 평점, 재고 여부 등의 정보를 구조적으로 명시함으로써 구글 쇼핑, 검색 결과 Rich Snippets에 노출될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개정은 이러한 구조화 정보 중 ‘반품 관련’ 요소에 적용된 것이죠.
📌 무엇이 바뀌었을까요?
이전에는 구조화 데이터 내 반품 정책(MerchantReturnPolicy) 정보를 넣을 때,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추천되었어요:
- returnPolicyCategory (예: 반품 가능/불가능)
- merchantReturnDays (예: 14일 이내 반품)
- returnFees (예: 무료 반품 또는 유료 반품)
그런데 이번부터는 이에 더해,
✅ returnPolicyCountry (반품 정책이 적용되는 국가)
라는 항목을 “필수(required)”로 포함해야 합니다.
즉, 반품 정책이 어느 국가에 해당하는지 명시하지 않으면, 해당 구조화 데이터를 통한 구글 검색 노출이 제한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더불어, 구글은 다음 항목들 또한 함께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returnMethod (예: 우편 반품, 매장 직접 반품)
- returnShippingFeesAmount (반품 배송비 금액)
💡 실제 예시 코드
아래는 구글이 제시한 반품 정책 구조화 데이터 예시입니다.
"hasMerchantReturnPolicy": {
"@type": "MerchantReturnPolicy",
"applicableCountry": "KR",
"returnPolicyCountry": "KR",
"returnPolicyCategory": "https://schema.org/MerchantReturnFiniteReturnWindow",
"merchantReturnDays": 30,
"returnMethod": "https://schema.org/ReturnByMail",
"returnFees": "https://schema.org/FreeReturn"
}
위 예시는 ‘대한민국(KR)’에 적용되는 반품 정책이며, 30일 이내 무료로 우편 반품이 가능하다는 구조화 데이터 정보입니다.
🏪 왜 이게 중요한가요?
여기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분들께 중요한 질문 하나를 던져봅니다:
“당신의 제품 페이지는 실제 검색 결과에서 충분히 노출되고 있나요?”
구조화 데이터는 특히 구글 쇼핑, 가격 비교 섹션, Rich Results(풍부한 정보가 담긴 검색 결과) 등 다채로운 검색 인터페이스에 노출될 수 있는 결정적 요소입니다. 만약 구글이 요구하는 필수 항목을 누락하면, 검색 노출 기회 자체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볼까요?
📍 실제 사례: 미국의 의류 쇼핑몰 A사
A사는 다양한 국가에 판매를 하는 글로벌 셀러입니다. 하지만 각 국가마다 반품 정책이 다른데요, 기존 구조화 데이터에는 단순히 ‘Return 가능: 60일 이내’ 정보만 기입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3월 이후 구글 검색 알고리즘에서 A사의 일부 페이지가 상품 Rich 결과에서 제외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조사 끝에 ‘returnPolicyCountry 필드 누락’이 원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ISO 방식으로 국가 코드를 명시한 후 노출이 회복되었죠.
이처럼 작은 한 줄의 코드가 SEO와 검색 유입량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어떻게 적용하면 될까요?
- 제품 페이지 구조화 데이터 재확인
— 모든 제품 페이지의 structured data에서 ‘hasMerchantReturnPolicy’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returnPolicyCountry 필드 확인
— 필수 항목입니다! ISO 3166-1 alpha-2 형식으로 국가 코드를 명시하세요. 예) 한국: “KR”, 미국: “US” - 기타 추천 속성 함께 적용
— 반품 기간, 수단, 수수료 등도 함께 입력하면 구글이 더 풍부한 정보를 이해하고 노출을 확대합니다. - 검증 도구 활용
— 구글의 Rich Results Test(https://search.google.com/test/rich-results)로 스킴 마크업 오류 여부를 점검하세요. - Search Console로 모니터링
— 적용 후 Google Search Console에서 구조화 데이터 상태 및 검색 성과를 추적하세요.
🎯 정리하며: 반품 정책도 SEO 시대
요즘 전자상거래는 단순히 좋은 상품을 파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검색 알고리즘과 구조화 데이터의 이해와 대응이 곧 브랜드와 제품의 노출을 좌우하는 시대죠.
특히 반품 정책처럼 소비자가 민감하게 여기는 정보는 이제 구조화 데이터로 정확하게 전달해야만 고객의 신뢰도, 검색 노출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 다음 스텝은요?
✔ 쇼핑몰 마케팅 관리자라면 개발팀과 함께 현재 구조화 데이터 구성 점검
✔ Shopify, 카페24, 고도몰 등 솔루션을 사용 중이라면, 해당 플랫폼이 새로운 기준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체크
✔ 다국적 판매처라면 국가별 반품정책 구분 여부 필히 확립
아직 구조화 데이터를 어렵게 느끼신다면?
👉 블로그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지속적으로 관련 가이드를 포스팅할게요.
여러분의 쇼핑몰, 오늘도 검색엔진 상위노출되길 응원합니다💡
—
📚 참고자료
🔗 구글 공식 가이드: MerchantReturnPolicy 스키마 문서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ppearance/structured-data/merchant-listing